2. C언어 입문 연습문제
컴파일 언어로 작성된 소스 파일로 실행 파일을 생성하는 과정(C/C++ 등)
c언어로 작성된 소스파일(.c파일)을 컴파일러(Compiler)가 컴파일(번역) 하게 되면 오브젝트파일(.obj)이 생성된다.
이 오브젝트 파일들을 모아서 링커(Linker)가 링크하면 실행 파일(.exe)이 생성된다.
최종 결과인 실행 파일은 바이너리(Binary)파일 이다.
추가적으로 컴파일(Compile)과 링크(Link) 두 단계를 묶어 뷜드(Build)라고 한다.
인터프리터 언어로 작성된 소스 파일로 실행 파일을 생성하는 과정(JAVA, Python 등)
인터프리터 언어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가상 기계(Virtual Machine)이다.
인터프리터 언어로 작성된 소스파일을 한줄씩 곧바로 해석하여 실행한다.
따라서 실행 시간이 컴파일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보다 느리다.
ANSI(American National Standard Institute) : 미국표준협회
visual studio에서 소스파일을 작성하고 뷜드를 한 후
해당 프로젝트의 Debug 폴더를 열어보면 .pdb란 파일이 보인다.
이 파일은 뷜드 결과로 만들어진 실행 파일에 대한 심볼(Symbol)파일인데,
다른 말로는 프로그램 디버그 데이터베이스 파일이다.
이 파일을 이용해서 프로그램과 소스 코드를 연결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연습문제]
1. HelloWorld.c 예제를 수정하여 자신의 이름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세요.
#include <stdio.h>
int main(int argc, char* argv[])
{
printf("도지코인\n");
return 0;
}
2. 1번 문제를 해결했다면, \n를 추가하여 자신의 이름과 함께 전화번호가 출력되도록 코드를 수정하세요.
실행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 printf() 함수는 한 번만 호출해야 합니다.
#include <stdio.h>
int main(int argc, char* argv[])
{
printf("도지코인\n010-1234-5678");
return 0;
}
3. 소스 코드를 기계어로 변환하는 일과 기계어로 변환된 파일을 실행 파일로 만드는 것을 각각 무엇이라 하는지 답하세요.
답: 컴파일, 링크